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보도자료 좌측메뉴 보도자료 전체 정치 정부 전국 경제 금융 IT/과학 생활/레저 유통/운수 제조 문화/예술 건강 사회 국제 기타
연합뉴스 홈 > 보도자료 > 내용보기 | 인쇄
KEDI, 교육정책전문지 '교육개발' 5·6월호 발간


KEDI, 교육정책전문지 '교육개발' 5·6월호 발간 - 1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김재춘)은 '학생·교사·학부모 모두가 행복한 교육의 미래, 학교의 혁신'을 주제로 교육정책전문지 '교육개발' 5·6월호를 발간했다.

'교육개발'은 1979년 창간해 계간지로 발간되다가 올해부터 온라인 접근성 강화를 위해 웹진(www.edzine.re.kr)으로도 발간하며 격월(연 5회) 발행 체제로 전환했다.

현재 9만5천 명 온라인 회원에게 배포하고 있다.

'교육개발'은 주요 교육 정책 현안, 교육 정책 이슈와 쟁점 분석이 이뤄지는 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교육 혁신 사례, 교육 연구 동향 등의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가정의 달 5월에 발간되는 '교육개발' 5·6월호는'학생·교사·학부모 모두가 행복한 교육의 미래, 학교의 혁신'을 주제로 'CEO 칼럼', '특별기획', '교육정책 이슈와 전망', '세계의 교육', '교육현장 리포트', '교육통계 포커스' 등 6개 섹션으로 구성돼 있다.

'교육 정책 이슈와 전망' 섹션에서는 '새 정부 교육 정책 제안: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논의를 다뤘다.

집필자인 황준성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대선 기간 교육 정책의 주요 공약으로 부각됐고 새 정부의 공약에 포함된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쟁점을 명료하게 제시하고 쟁점별 대안을 제시했다.

황준성 연구위원은 국가교육위원회의 법적 지위, 교육부의 존치 여부, 위원회 구성과 운영 방법 등을 둘러싼 쟁점을 꼼꼼히 짚었다.

이어 "정권 또는 장관 교체에 따라 교육 정책 추진의 안정성이 흔들리는 등 헌법 가치인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의 보장이 요원한 것이 현실"이라며, "헌법 정신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라도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국가교육위원회의 설치가 교육문제 해결의 만병통치약은 아니므로 '교육행정 권한의 지방 이양', '교육 정책 입안과 추진 과정에서 국민과 학교현장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 필요'등이 중요함을 지적했다.

'교육통계 Focus'섹션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2016년 KEDI 학생역량조사'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수행평가 실태와 학생 핵심역량의 관계'를 분석했다.

'2016년 KEDI 학생역량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수행평가 실시 비율이 높은 학교의 학생 평균 핵심역량지수(의사소통, 창의적 사고, 지식정보처리, 공동체, 심미적 감성, 자기 관리 등의 역량점수를 종합한 것)가 높았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수행평가 실시 비율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이 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대해 길혜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연구위원은 "교사가 학생의 수행과정을 평가하면서 적극적으로 성장을 위한 조언을 하는 것이 학생의 역량 증진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중학교의 경우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새롭게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에 잘 뿌리 내려 학생들이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질적 평가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

이 외에도 이혁규 청주교대 교수의 일본 교사들의 수업연구(Lesson Study)에 관한 글과 이종각 학부모학회 회장의 '학부모의 질' 향상과 친 학부모 교육 정책 등으로 구성된 '특별기획', 현장에서 교육혁신을 위해 헌신하는 전문가, 활동가의 경험담과 아이디어를 담아 소개한 '교육현장 Report', 세계의 우수한 교육제도나 교육기관을 소개하는 '세계의 교육' 섹션에서 다양하고 알찬 교육 정책 정보를 접할 수 있다.

2017년도 '교육개발'은 웹진(www.edzine.re.kr)을 이용하거나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www.kedi.re.kr) → KEDI 발간물 → 정기간행물 메뉴에서 인쇄본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구독 신청도 가능하다.
(끝)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2017-05-25일 14:00] 송고
보도자료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