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보도자료 좌측메뉴 보도자료 전체 정치 정부 전국 경제 금융 IT/과학 생활/레저 유통/운수 제조 문화/예술 건강 사회 국제 기타
연합뉴스 홈 > 보도자료 > 내용보기 | 인쇄
문화재청, 전국 사찰 소장 목판 9건 보물 지정

묘법연화경 목판(1561년,해남 대흥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1561년,해남 대흥사 소장)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묘법연화경 목판' 등 9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보물 지정 예고된 대상은 문화재청이 비지정 사찰 문화재의 가치 발굴과 체계적 보존관리를 위해 (재)불교문화재연구소와 연차적으로 시행하는 '전국 사찰 소장 불교 문화재 일제 조사'의 성과이다.

2014년과 2015년에 조사한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 있는 사찰에서 소장한 목판 중 완전성, 제작 시기, 보존상태, 희소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총 9건을 최종적으로 선정했다.

해남 대흥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 木板)'은 1450년 문종의 병세가 나빠지자 안평대군 이용 등이 발원(부처에게 소원을 빌다)해 활자로 새긴 초주갑인자 '묘법연화경'을 명종 16년(1561년)에 전남 장흥 천관사에서 목판에 새긴 것이다.

갑인자본 계열 '묘법연화경'은 황해도 자비령사(1493년), 충청도 무량사(1493년), 경상도 신흥사(1545년) 등지에서 간행했다고 알려졌으나 대부분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대흥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은 유일본이자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전래하고 있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해 보호할 가치가 있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은 1545년에 오응성이 우리말로 옮긴 판본을 기본으로 해 판각한 것으로 아산 세심사에 소장돼 있다.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목판은 언해본으로 총 13판이 전하고 있다.

명종 18년(1563년) 동림산 신심사에서 새긴 것으로 현존하는 언해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중 제작 시기가 가장 오래된 것이자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언해본 경전의 현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서산 개심사(開心寺)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 木板)'은 1443년 성달생(1376∼1444 고려 말 조선 전기 무신)이 쓰고 새긴 고산 화암사판을 바탕으로 명종 20년(1565년) 충청도 가야산 보원사에서 다시 새긴 것으로 총 112판 중 1판이 결손돼 111판이 전하고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성달성계 묘법연화경 목판 중 강화 전등사가 소장한 묘법연화경 목판과 더불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판본이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계초심학인문 목판(誡初心學人文 木板)'은 선조 17년(1584년)에 서산 개심사에서 제작한 목판이다.

'계초심학인문'은 고려 시대 스님 지눌이 1205년에 저술한 책으로 불교 수행의 초보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내용을 담은 책이다.

총 8판으로 결판 없이 완전하게 전하고 있으며 한 면에 2장씩 판각돼 총 32장이 새겨져 있고 병충해나 균열 등이 없어 보존상태가 매우 좋다.

1603년에 간행된 하동 쌍계사 소장본(능인암 판각본)보다 10년이 앞서 제작된 것으로 현존 '계초심학인문'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목판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도가논변모자리혹론 목판(道家論辨牟子理惑論 木板)'은 선조 13년(1580년) 가야산 보원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총 5판 중 1판이 결판 돼 현재 4판이 서산 개심사에 전하고 있다.

목재의 울퉁불퉁한 표면과 부정형한 형태를 그대로 살려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 강하다.

조선 시대에는 '도가논변모자리혹론'이 목판으로 간행된 사례가 매우 드물며 개심사 소장본이 현재까지 전하는 유일본이자 가장 오래된 목판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蒙山和尙六道普說 木板)'은 선조 17년(1584년) 개심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6판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5∼16세기에 가장 활발히 간행돼 현재 20여 종의 판본이 전하는데 진안 용출사 현암본(1497년) 계통이 가장 많으며 개심사본은 일월사본(1432년), 자비령사본(1490년), 대광사본(1509년) 계통을 바탕으로 해 판각한 것으로 파악된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 중 가장 완전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豫修十王生七齋儀纂要 木板)'은 선조 10년(1577년) 충청도 서산 가야산 보원사에서 다시 판각한 것으로 현재 개심사에 26판이 완전하게 소장돼 있다.

원래의 목재 형상을 목판으로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에 모양과 크기가 다양해 조선 시대 목판 문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으며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온전한 수량이 전해진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 木板)'은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으로 광해 1년(1621년) 충청도 덕산 가야사에서 제작해 현재 개심사에 소장돼 있다.

마지막 장에 새겨진 간기(刊記)를 통해 목판이 판각된 시기와 판각 장소, 김국남 등 6명의 시주자, 판각을 담당한 각수 경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존상태가 좋은 편으로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유일한 판본이다.

'오대진언 목판(五大眞言 木板)'은 선조 37년(1604년)에 가야산 강당사에서 간행한 목판으로 현재 서산 개심사에 소장돼 있다.

범자(산스크리스트어)와 한자, 한글을 병용해 풀이했으므로 조선 시대 범자의 활용과 한글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개심사 소장 목판은 '오대진언' 중에서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부분만을 판각한 것으로 9판(28장)이 완전하게 보관돼 있으며 현재까지 전하는 오대진언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판본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한 '묘법연화경' 등 9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끝)

출처 : 문화재청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2017-11-14일 14:35] 송고
보도자료 검색